1. 월트디즈니의 역사
월트 디즈니는 20세기 초 미국의 애니메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킨 인물이다. 어릴 때부터 그림그리기를 좋아했던 월트 디즈니는 1923년에 그의 형제인 로이 디즈니와 함께 "디즈니 브라더스 스튜디오"를 창업하게 된다.디즈니는 "오즈왕자"라는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만들어 대성공을 거두게 되지만, 그후 원작권 분쟁에 휘말려 오즈왕자 캐릭터를 지킬 수 없게 된다. 이후 1982년에 디즈니는 미키마우스를 창작하여 공개하였으며, 이를 기점으로 그는 수많은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을 창작하였는데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된다. 애니메이션이 성공을 거둔 후 그는 최초의 테마파크인 "디즈니랜드"를 미국에서 개장하여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큰 혁명을 일으켰다. 이후 월트 디즈니 월드와 디즈니랜드 파리등 세계 각지에 디즈니 테마파크가 생겨나게 되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에 6개의 테마파크가 운영중이다. 월트 디즈니는 1966년에 6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지만, 그의 아이디어와 비전은 디즈니 컴퍼니의 성장과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고, 현재에도 디즈니는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엔터테인먼트 기업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2. 월트디즈니의 대표작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인 월트디즈니사는 다양한 흥행작을 선보이며 전세계적으로 많은 흥행을 이루었다. 모든 작품에는 어린이를 배려한 철학이 담겨 있는데, 전체적인 내용에서 삶의 어두운 면과 죽음을 적나라하게 다루지 않는 원칙을 지키면서, 어린이들에게 맑고 고운 심성을 심어주고 건강한 도덕과 윤리관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아름답게 풀어 나감으로써 전연령 시청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뮤지컬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빼놓을수 없는 대표 특징인데, 창립 초기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명곡들을 제작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작품 몇 가지를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뮤지컬 작품을 원작으로한 애니메이션 영화인 라이온킹을 들 수 있다. 이 영화는 1994년에 개봉하였는데, 아프리카 대륙에 사자 가문의 왕자 심바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두번째로 1992년에 개봉한 알라딘은 동양의 전설을 배경으로 만든 애니매이션 영화인데, 가난한 소년 알라딘과 마법사 지니의 이야기이다. 세번째로 1991년에 개봉한 미녀와 야수는 프랑스의 전래동화를 원작으로 하였는데, 괴물로 변환 왕자와 그를 사랑하는 소녀 벨의 이야를 담았다. 다음은 디즈니에서 아주 큰 흥행을 거둔 작품 중 대표작인 겨울왕국인데, 남쪽 왕국의 어린 여왕 엘사와 그녀의 여동생 안나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후속작까지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2016년에 개봉한 모아나는 타히니 문화를 바탕으로 만든 애니메이션 영화인데, 타히티 섬의 용맹한 소녀 모아나의 모험을 주제로 한 이야기이다.
3. 월트디즈니와 마블
2019년에 월트디즈니사는 마블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여 컨텐츠 라이브러리를 확대하였다. 이로 인해 디즈니는 마블의 다양한 캐릭터와 이야기를 포함한 대규모 미디어 프랜차이즈를 보유하게 된다. 월트디즈니가 마블을 인수한 것은 두 회사 간의 협력과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것이었는데, 두 회사의 캐릭터들이 함께 등장하면 서로의 인기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었다. 디즈니 캐릭터들과 마블 캐릭터들이 함께 등장하는 영화나 콘텐츠를 제작하면, 두 회사의 팬층을 모두 대상으로 할 수 있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브랜드 가치 역시 더욱 높일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월트디즈니는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마블 또한 더 많은 자금을 얻어 새로운 캐릭터를 개발하고 만화 및 영화를 제작하는 등의 활동을 더욱 활발히 이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월트디즈니와 마블의 인수합병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대규모 합병 중 하나로 주목받았는데, 이러한 합병 방식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경쟁구도를 변화시켰으며, 이를 통하 기존의 산업 리더들에게 경쟁 압력을 가하고 새로운 경쟁 업체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의 합병으로 인해 월트디즈니는 더욱 큰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더욱 강력한 기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댓글